리모델링 조합 의결 혼선, 주택법은 어떻게 해석되나?
📍 1. 최근 논란: 조합 투표 방식 혼선
최근 여러 리모델링 조합에서 의결 정족수 해석을 두고 조합원 간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특히 투표권 산정 기준이 세대 기준인지, 조합원 기준인지를 두고 혼란이 생기고 있으며, 이에 따라 총회 결과 무효 소송이 제기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.
📜 2. 주택법과 판례: 무엇이 기준인가?
주택법상 리모델링 총회 의결은 조합원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지만, 그 ‘조합원’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해석이 갈립니다. 최근 판례에 따르면, 조합 설립 당시 기준에 따라 **“1세대 1표 원칙”이 우선 적용**된다는 해석이 다수입니다.
다만 조합 규약에서 **특별한 규정이 있을 경우**, 예외적으로 다주택자가 2표 이상을 갖는 구조도 가능하다는 해석도 존재합니다.
⚠ 혼선이 초래하는 문제
- 총회 무효 소송 증가
- 사업 지연 및 비용 증가
- 조합 내 불신 및 탈퇴 사례 확대
정비사업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법적 기준과 행정지침의 **일관된 적용과 사전 공지**가 필수적입니다.
🔍 4. 실무적 개선 방향
조합은 총회 개최 전 투표 방식 및 의결 기준을 명확히 안내하고, 모든 조합원이 동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전 의견 조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또한 정부 차원의 표준 규약 개정 및 법령 명확화도 함께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
📝 5. 마무리
리모델링 사업이 확대되는 가운데, 의결 기준 혼선은 불필요한 갈등과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핵심 리스크입니다. 법과 판례, 실무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한 시점입니다.